인삼 수경재배 및 항암 보조제 사업
01. 해외 농업 현대화 사업
하임인터내셔널즈는 기획재정부 산하 아프리카-한국경제개발협회(AKEDA)와 함꼐 5억 규모의 수주를 완성하는
등
해외 농업 현대화 사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임인터내셔널즈는 식물 재배 시설의 기획·설계·재배·물류 등 전 생산 과정을 ICT로 통합해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스마트팜 사업의 기술을 많은 나라와 나누고 있습니다.
03. 인삼 수경재배/항암 보조제 사업
하임인터내셔널즈는 사포닌 함량이 높은 원료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항암제 개발과 관련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혁신적인 항암 치료제와 건강 증진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진세노사이드 Rg3와 Rh2 기반의 암줄기 세포 성장 억제 원리의 항암제 개발
고수율의 사포닌 함량 원료 생산 및 판매 (진세노사이드 - Rh2 + Rg3)
인삼 수경재배
인삼 수경재배
인삼 수경재배
항암 및 건강 관련 제품 연구/ 생산
하임인터내셔널즈는 친환경 농업을 위한 유기농 비료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토양 건강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토양 pH의 최적화)
(토양의 생명력 증대)
여러 질병에 대한 강한 면역력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저항성)
성장 촉진 및 생산물량 증대
(감자, 오이, 상추, 과일 등)

1938년 이래로 한국의 비료사업을 선도한 대표적인 녹색 바이오 기업
흥농은 농작물 보호 시장 점유율
1위, 비료 및 종자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국내 1위 그린바이오 기업으로 풍부한 경험과 첨단
기술력으로 보다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톤)

유기 비료 (999톤)

1,000톤 만들다
유기 비료사용 예시
방울 토마토 농사 연차별 변화

1~2년차

3년차

4년차

5년차

6년차
- 하우스 염류 집적이 많아 4년 차부터 알이 굵어지면서 생산량이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 또한, 4년 차에서 벌레(총 벌레와 온실 가루)가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5년 차부터는 온실가루이가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 자체 면역력과 저항력이 강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씨감자 시스템

조직 배양(T/C)
T/C(조직문화)실 10일

G0 미니튜버(MNT)
스마트 그린 하우스 시스템에 따라 60~90일 소요

G1 씨앗
넷 그린 하우스

G2 씨앗
밭
1년
1년
1년: 겨울(G1)
1년: 가을(G2)
1년: 2중 경작(고지대에서 잠재적으로 삼중 경작)
- 2년 이내에 실내에서 플랜틀렛과 미니튜버, G1, 인증된 씨감자(G2)를 생산합니다.
- 효율적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 바이러스 없는 씨감자를 단기간에 신속하게 생산해야 하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하임인터내셔널즈는
전략 작물 재배와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한
원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축산업, 상하수도 관리, 전력 공급, 폐기물 처리 등
농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합니다.
쌀, 옥수수, 스테비아, 비트, 방울토마토, 딸기 등 아프리카 각국의 전략장물 작황의 다양성 계획 확보
농업과 관련된 상하수도 관리, 수질 관리, 그리고 작황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갖춘 모듈 보유
IoT와 AI 기술을 활용해 원거리에서 장치나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
종묘, 농약, 농기구 등의 농업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보급하기 위한 상점 확보 및 입점 교육
농업관련 양계 및 축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료, 비료 연계 프로그램 보유 및 교육
전기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 스테이션을 구비 및 구축을 위한 기술 확보
소각로 완비,
소각 → 터빈이용 전력 생산 가능 효율을 향상
한국 → 아프리카 교차 교육 시스템 체계 완비
전문 인력 교육
양식장
실내외 양식시스템 가동
60년 외교의 가치를 담아,
아프리카 신시장 개척으로
새로운 도약을 이루다.
해외 농업 현대화 사업 외

일본 롯도엔지니어링 기술 고문
중국재료과학원 기술 고문
한국기술창업협회 회장
동아시아 이온학회(중국, 일본, 한국) 기술감독관
(주)위드로드 기술 고문
(주)위드팜 농업회사법인 기술 고문
우즈베키스탄 안디잔 농업과학기술원 특임교수